본문 바로가기

보건임용준비

반사회적 인격장애(ASPD)란?

반응형

B군 인격장애의 대표 유형, 반사회적 인격장애 완전 정리!

🧠 반사회적 인격장애란?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는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지속적인 행동 양상이 나타나는 B군 인격장애 중 하나입니다. 주로 성인기에 진단되며, 증상은 **15세 이전부터 나타나는 품행장애(conduct disorder)**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진단 기준 (DSM-5 기준)

미국정신의학회 DSM-5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 반복적인 불법행위 (체포, 절도, 폭력 등)
  • 거짓말 또는 사기행위
  • 충동성 및 미래 계획의 부재
  • 반복적인 공격성 (신체적 싸움, 폭행)
  • 무모한 행동으로 자신 또는 타인의 안전을 무시
  • 책임감 부족 (직장 지속 실패, 경제적 책임 회피)
  • 죄책감 또는 후회 없음, 공감 능력 결여

✅ 이러한 행동들이 성인기에 지속되고, 아동기부터 품행장애의 이력이 있을 경우 진단됩니다.


📊 발생 원인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원인은 다음과 같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구분내용
유전적 요인 충동성, 공격성 유전 가능성
환경적 요인 아동기 학대, 방임, 불안정한 양육 환경
신경학적 요인 전두엽 기능 저하, 공감 관련 뇌 회로 이상

🧩 다른 인격장애와의 차이점

구분반사회적 인격장애경계선 인격장애자기애성 인격장애
핵심 특징 타인에 대한 권리 침해 정서적 불안정 과도한 자존심
공감 능력 거의 없음 불안정 제한적
충동성 매우 높음 높음 낮거나 없음

💬 일상에서 보이는 특징 예시

  • “나는 규칙이 싫어.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살 거야.”
  • “남이 손해 보는 건 상관없어. 내가 이기면 그만이야.”
  • “사람을 조종하는 건 재미있어. 바보같이 속지.”

이처럼 자기중심적이고 후회 없는 행동, 무책임하고 타인을 이용하는 패턴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 치료 방법은?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치료가 도전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개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인지행동치료(CBT): 왜곡된 사고 수정
  • 집단치료: 사회적 규범에 대한 인식 개선
  • 약물 치료: 충동성이나 공격성을 완화하기 위한 항우울제, 항정신병 약물

⚠️ 대부분의 경우 치료 동기 부족으로 인해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가족과 사회의 역할

  • 어린 시절 품행장애 조기 발견 및 개입
  • 긍정적 모델링과 경계 설정
  • 일관된 훈육과 관심 제공

사회적으로도 조기 예방, 재범 방지 프로그램 등이 필수적입니다.


✅ 마무리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닌,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입니다. 조기 개입과 사회적 관심이 중요한 만큼, 올바른 정보 전달과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