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총 슬관절 치환술(TKR, Total Knee Replacement)**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만성 무릎 통증과 기능 제한을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형외과 수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TKR 수술의 정의, 수술 전후 간호, 그리고 각 간호행위의 근거를 중심으로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TKR 수술이란?
TKR(Total Knee Replacement)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심하게 닳아 기능을 상실한 경우, 손상된 부위를 제거하고 금속 및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 적응증: 말기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성 관절 손상
- 수술 목적: 통증 감소, 관절 기능 회복, 일상생활 복귀 촉진
TKR 수술 전 간호 (Pre-op Nursing Care)
1. 환자 교육
- 내용: 수술 전후 절차, 통증관리 방법, 재활 필요성
- 근거: 환자의 불안 감소 및 수술 협조도 향상 (Joint Commission, 2019)
2. 감염 예방
- 간호중재: 피부 소독, 항생제 투여, 수술 부위 제모 금지
- 근거: 수술 부위 감염률 감소 (CDC Surgical Site Infection Guideline, 2017)
3. 혈전 예방 교육
- 간호중재: 조기 운동 교육, 탄력 스타킹 착용
- 근거: 정맥 혈전 색전증(VTE) 예방 (ACCP guideline, 2016)
TKR 수술 후 간호 (Post-op Nursing Care)
1. 통증 사정 및 관리
- 간호중재: NRS 점수 기반 진통제 투여, PCA 사용 지도
- 근거: 통증이 조절되어야 재활 효과가 높아짐 (WHO Pain Ladder, 2020)
2. 활력징후 및 출혈 모니터링
- 간호중재: 초기에는 15~30분 간격으로 활력징후 확인, 드레싱 부위 점검
- 근거: 출혈이나 감염 조기 발견 목적 (Brunner &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Surgical Nursing)
3. 배액관 관리
- 간호중재: 배액량, 색상, 냄새 체크 / 감염 징후 확인
- 근거: 수술 후 감염 및 혈종 예방 (한국임상간호지침센터, 2021)
4. 조기 보행 및 재활
- 간호중재: CPM 기계 사용, 보행기/목발 보행 훈련
- 근거: 관절 강직 및 혈전 예방, 근력 회복 촉진 (AAOS, 2020)
5. DVT 예방
- 간호중재: 하지 압박 스타킹,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 항응고제 투여
- 근거: 폐색전증 및 심부정맥혈전 예방 (CHEST Guideline, 2016)
퇴원 전 간호 및 보호자 교육
1. 퇴원 후 자가관리 교육
- 약 복용법, 인공관절 보호법, 감염 예방 방법 안내
- 실내 환경 정리 (미끄럼 방지, 욕실 손잡이 등)
2. 외래 일정 및 이상 증상 시 대처법 안내
- 발열, 심한 부종, 수술 부위 발적 등 감염 징후 교육
- 정기 외래 방문 및 재활 치료 일정 강조
마무리하며
TKR 수술 후 간호는 단순한 처치가 아니라,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간호사의 전문적인 간호중재와 세심한 관찰이 회복 속도를 결정짓는 만큼, 정형외과 병동 간호사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내용입니다.
이 글이 정형외과 간호 실무자는 물론,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앞둔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정형외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과 Bipolar 인공고관절치환술의 차이점은? (0) | 2025.04.07 |
---|---|
🩺 간호사 인계 잘하는 법: 신경 쓰이는 인계, 똑 부러지게 끝내는 꿀팁 (0) | 2025.04.06 |
대퇴골 골절 치료, PFN 수술이란? 수술 방법부터 회복 과정까지 총정리! (0) | 2025.03.31 |
수술 전 꼭 알아야 할 중단해야 하는 약물 정리 (0) | 2025.03.31 |
수술 전 꼭 알아야 할 중단해야 하는 약물 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