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과 이야기

💉페린젝트 보험 기준과 Ferritin 수치 총정리|철분주사 급여 적용 조건은?

반응형

철 결핍성 빈혈로 고생하고 계신가요?
경구 철분제 복용이 어렵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 **정맥 철분주사(IV 철분)**인 **페린젝트(Ferinject)**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 5월부터 페린젝트는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시작되어, 보다 저렴하게 치료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페린젝트 보험 기준, Ferritin 수치 기준,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페린젝트(Ferinject)란?

페린젝트는 고용량 정맥철분제로, 유럽 및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페릭카르복시말토즈(ferric carboxymaltose)’ 제제입니다.

  • 💉 1회에 최대 1,000mg까지 투여 가능
  • ⏱ 정맥주사 또는 점적주사로 15분 이상 소요
  • 📉 부작용이 적고 빠른 효과

📌 2024년부터 페린젝트 건강보험 적용!

💰 건강보험 급여 적용 내용

  • 2024년 5월 1일부터 급여 등재
  • 1바이알(20mL, 철분 1,000mg) 기준 약가 115,582원
  • 환자 본인 부담금 약 34,600원 수준으로 대폭 인하

📍 급여 적용 대상

다음 중 하나 이상 해당 시 건강보험 적용 가능:

  1. 경구 철분제를 복용할 수 없거나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
  2. 철 결핍성 빈혈 진단 + 빠른 철분 보충이 필요한 경우
    • 암환자, 수술 환자, 만성 신장질환, 심부전 환자 등 포함

🧪 Ferritin 수치 기준, 왜 중요할까?

페린젝트 급여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혈액검사 항목 중 하나가 바로 **Ferritin(페리틴)**입니다.

💡 Ferritin이란?

  • 체내 저장 철분을 나타내는 지표
  • 철 결핍 여부를 판단하는 데 가장 신뢰도 높은 수치

✔️ Ferritin 정상 기준

구분정상 수치 (ng/mL)
성인 여성 15 ~ 150
성인 남성 20 ~ 300
 

📊 철 결핍성 빈혈 진단 시 Ferritin 기준

Ferritin 수치해석
< 15 ng/mL 철 결핍 진단 기준 (WHO 기준)
< 30 ng/mL 철 결핍 가능성 높음
30~100 ng/mL 기능적 철 결핍 가능성 (염증성 질환 동반 시 주의)
> 100 ng/mL 철 결핍 가능성 낮지만, 다른 지표 필요 (TSAT, CRP 등)
 

🧾 페린젝트 급여 적용 시 참고되는 혈액 지표

검사기준 수치해석
Hb(헤모글로빈) 여성 < 12, 남성 < 13 (g/dL) 빈혈 여부
Ferritin < 30 ng/mL 철 결핍 진단 기준
TSAT (트랜스페린 포화도) < 20% 철분 운반 능력 감소
CRP (염증 수치) ↑ 시 Ferritin 수치 해석 주의 염증성 질환 동반 가능
 

🔍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 ferritin 수치가 가짜로 높게 나올 수 있으므로, TSAT + Hb + CRP 종합 해석이 중요합니다.


⚠️ 페린젝트 투여 시 주의사항

  • ✅ 반드시 의사의 판단하에 투여
  • 🚑 아나필락시스 등 부작용 우려 → 투여 후 30분 이상 관찰 필요
  • ❌ 경구 철분제와 병용 시 흡수율 저하 → 최소 5일 간격 유지

✍️ 마무리하며

페린젝트는 고용량 정맥 철분 보충이 필요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제입니다.
Ferritin 수치와 Hb 수치 등을 기반으로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2024년 이후 치료비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빈혈 증상이 지속되거나, 경구 철분제로 효과가 없는 경우
꼭 혈액검사를 통해 Ferritin, Hb, TSAT, CRP 수치를 확인하고,
전문의와 상담 후 페린젝트 투여 여부를 결정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