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O 수술(근위경골절골술)의 모든 것
무릎 안쪽이 아프고 걷기 불편한데, 인공관절 수술은 아직 이르다고 느끼시나요?
이럴 때 고려할 수 있는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바로 **HTO(High Tibial Osteotomy, 근위경골절골술)**입니다.
HTO 수술이란?
HTO 수술은 무릎 관절의 정렬을 교정해 무릎 안쪽(내측)에 집중되는 하중을 바깥쪽(외측)으로 분산시켜주는 수술입니다.
주로 퇴행성 관절염이나 **내반슬(오다리)**로 인해 무릎 안쪽이 손상된 중년 환자에게 시행됩니다.
- ✅ 관절을 제거하지 않고 보존하는 수술
- ✅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게 적합
- ✅ 무릎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
💡 키워드: 무릎통증, HTO 수술, 관절보존수술, 근위경골절골술
HTO 수술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HTO 수술이 고려됩니다:
-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무릎 안쪽 통증이 심함
- 무릎 안쪽 연골이 닳은 내측 퇴행성 관절염
- **오다리(내반슬)**가 심해서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
- 활동량이 많고 아직 인공관절 수술은 부담스러운 경우
HTO 수술의 원리
HTO 수술은 경골(정강이뼈)을 절골하여 무릎 축을 바꾸는 방식입니다.
- ⛏️ 정강이뼈 상단을 절단 후 벌려서(또는 닫아서)
- 🔧 다리 정렬을 바꾸고
- 🦵 무릎 안쪽에 집중되던 하중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로 인해 손상된 연골의 부담이 줄고 통증도 완화됩니다.
HTO 수술 vs 인공관절 수술 차이점
구분HTO 수술인공관절 수술
수술 대상 | 젊은 중년층, 활동 많은 환자 | 고령 환자, 관절 전반 손상 |
연골 상태 | 부분 손상 | 전체 손상 |
관절 보존 | O (자기 관절 유지) | X (인공 삽입) |
수명 | 관절 수명 연장 | 삽입물 수명 제한 |
회복 후 활동 | 제한 거의 없음 | 활동 제한 가능 |
수술 후 회복 및 관리
- 보통 수술 후 2~3일 내 보행 연습 가능
- 재활운동과 체중 조절이 중요
- 6개월~1년 사이 정상 활동 가능
💡 중요한 건 수술 후 체중 관리와 운동 습관!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는 생활이 필수입니다.
마무리하며: 무릎 건강, 보존할 수 있습니다
HTO 수술은 무릎을 '갈아끼우는' 것이 아닌 자기 관절을 지키는 수술입니다.
무릎 안쪽 통증이 있지만 인공관절 수술이 부담스러운 경우,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 후 HTO 수술 여부를 꼭 고려해보세요.
더 많은 관절 건강 정보와 치료 후 회복 팁이 궁금하다면 블로그 구독과 좋아요 꾹! 😊
반응형
'정형외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해부학 완벽 정리|발목과 발가락 구조까지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24 |
---|---|
무릎 시멘트(cement) 인서트 후 CPM 제한하는 이유 (0) | 2025.04.13 |
THR과 Bipolar 인공고관절치환술의 차이점은? (0) | 2025.04.07 |
🩺 간호사 인계 잘하는 법: 신경 쓰이는 인계, 똑 부러지게 끝내는 꿀팁 (0) | 2025.04.06 |
대퇴골 골절 치료, PFN 수술이란? 수술 방법부터 회복 과정까지 총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