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이야기

MRI 조영제 주입, 왜 꼭 18G 바늘을 써야 하나요?

반응형

며칠 전 병동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MRI 촬영을 위해 환자에게 조영제를 주입하려고 했는데, 이미 20게이지 정맥주사 라인이 잡혀 있었어요. 평소처럼 그대로 사용하려 했더니, 영상실에서 "이 라인은 안 돼요. 18G로 다시 잡아주세요." 라는 말이 돌아왔습니다.

왜일까요? 20G도 정맥주사에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데, 왜 MRI 조영제에는 18G만 고집하는 걸까요?


MRI 18G

💡 MRI 조영제는 ‘고속·고압’ 주입이 핵심!

MRI 조영제(예: 가도리늄 계열)는 혈관을 따라 전신에 빠르게 퍼져야 선명한 영상이 나옵니다. 그래서 보통 자동 주입기(Power Injector)를 통해 고압으로 빠르게 주입하게 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속도’와 ‘압력’**입니다.
좁은 바늘(20G 이하)은 조영제를 빠르게 밀어 넣기에는 부족해요. 압력이 증가하면서 라인이 터지거나 누출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18G 바늘을 사용하는 이유 3가지

  1. 고속 주입 가능
    18G는 내경이 넓어서, 조영제를 빠르게 주입해도 막힘 없이 흐릅니다.
  2. 고압 견딤
    자동 주입기는 고압으로 조영제를 밀어넣기 때문에, 바늘이 견고해야 합니다.
    18G는 압력에 더 강해 안정적입니다.
  3. 조직 침윤 예방
    만약 조영제가 혈관 밖으로 누출되면, 피부 괴사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
    굵은 바늘을 사용하면 혈관 내로 정확히 주입되기 때문에 이런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임상에서의 팁

  • 18G가 원칙이지만, 노인이나 혈관이 약한 환자에게는 삽입이 어려울 수 있어요.
    그럴 땐 혈관 굵기를 잘 보고, 가능한 한 굵은 부위에 삽입해 주세요.
  • 혹시라도 20G나 더 가는 게이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천천히 주입하거나, 주입 압력을 낮추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어요.
    (하지만 기본은 자동주입기 + 18G입니다!)

✨ 마무리하며

조영제는 영상의 질을 좌우하고,
올바른 게이지 선택은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저도 이번 경험을 통해 다시 한 번 느꼈어요.
"왜 18G를 고집하는지", 그 이유를 알고 나면 충분히 수긍이 가더라고요.

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경험 있으셨나요?
바늘 다시 잡느라 고생했던 기억, 혹은 팁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나눠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