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테노라피(Tenorrhaphy)란?
**테노라피(Tenorrhaphy)**는 찢어진 **힘줄(tendon)**을 수술적으로 봉합하는 시술로, 주로 사고나 스포츠 손상, 외상 등으로 인해 손상된 힘줄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됩니다.
이 용어는 teno- (힘줄)와 -rrhaphy (봉합)을 합친 말로, 문자 그대로 ‘힘줄을 꿰맨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테노라피가 필요한 상황
테노라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 손목이나 손가락 힘줄 절단
- 아킬레스건 파열
- 어깨 회전근개 손상
- 대퇴사두근, 슬괵근 등의 근건 이완
- 스포츠 중 발생한 급성 건 손상
🔧 테노라피 수술 방법
테노라피는 손상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양한 봉합 기술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순 봉합(simple suture)
- 작게 찢어진 경우에 사용
- 봉합사가 건 양끝을 직접 연결
2. 보강 봉합(modified Kessler, Krackow technique 등)
- 고강도 봉합이 필요할 때
- 봉합사가 여러 방향으로 걸쳐져 힘줄을 튼튼하게 지지
3. 건 이식 또는 재건
- 손상 부위가 심하거나 힘줄 길이가 부족할 경우, 다른 부위의 힘줄을 이식하거나 인공건을 사용
⏱ 테노라피 후 회복 과정
- 수술 직후 (0~2주)
- 부목 고정 또는 깁스 착용
- 통증 조절 및 부기 감소 치료
- 2~6주차
- 제한적 수동 관절 운동 시작
- 관절 구축 방지 목적
- 6주 이후
- 능동적 관절 운동 시작
- 점차 근력 강화 운동 병행
- 3~6개월 이후
- 일상 활동 복귀 가능
- 스포츠 활동은 회복 속도에 따라 조절
💬 테노라피 후 주의사항
- 무리한 움직임은 회복을 늦출 수 있음
- 감염 징후(발열, 통증, 발적)는 즉시 의료진에 보고
- 정기적인 물리치료와 재활운동 필수
📌 결론: 테노라피는 기능 회복의 핵심 수술
테노라피는 단순히 찢어진 힘줄을 봉합하는 것이 아닌,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되찾게 해주는 중요한 치료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고, 재활 과정을 성실히 따라간다면 대부분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정형외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형외과 깁스 관리] Cast 하다가 Bivalve 한다는 뜻은? (0) | 2025.05.12 |
---|---|
엄지발가락 휘는 병, Hallux Valgus 수술과 회복까지 총정리 (0) | 2025.05.09 |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간단 MCL과 복잡 MCL의 차이점 (0) | 2025.05.07 |
로봇감압치료란? 허리, 목 디스크에 효과적인 물리치료 신기술 (0) | 2025.05.07 |
Rt. Knee ACL Recon 수술이란? (오른쪽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총정리)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