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엄지발가락이 휘어 신발 신기가 불편하다면?”
많은 분들이 무지외반증(Hallux Valgus) 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무지외반증의 수술 방법, 수술 후 회복 과정, 그리고 보조기 착용 시기와 종류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 무지외반증(Hallux Valgus)이란?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제1중족골은 안쪽으로 튀어나오는 변형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엄지발가락 관절 부위의 통증
- 신발 착용 시 불편감
- 오래 걷거나 운동 시 통증 악화
- 2번째 발가락의 변형
⚠️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권장됩니다:
- 통증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인 경우
- 보조기나 깔창 등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 발가락이 겹치거나, 2번째 발가락까지 변형이 생긴 경우
- 외관상 문제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경우
🛠️ Hallux Valgus 수술 방법
수술은 변형 정도에 따라 여러 방식이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Chevron 절골술
- 경도~중등도 무지외반에 사용
- 제1중족골을 ‘V’자 모양으로 절골 후 정렬
2. Scarf 절골술
- 중등도~중증에서 사용
- 뼈를 Z자 형태로 절골하여 정렬을 조절
3. Akin 절골술
- 엄지발가락 자체를 절골하여 정렬 개선
4. 융합술 (Arthrodesis)
- 관절염 동반 시 적용
- 관절을 고정하여 통증 제거
👉 수술은 대부분 당일 또는 1박 입원으로 진행되며, 전신 또는 척추마취가 사용됩니다.
⏱️ 수술 후 회복 과정
회복 단계내용
| 수술 직후 (0~2주) | 발을 심장보다 높이 유지, 부목 또는 특수 신발 착용, 실밥 제거 전까지 물 접촉 금지 |
| 2~6주 | 보조기(무지외반 슈즈) 착용하며 점차 보행 연습, 통증 조절 |
| 6~12주 | 보조기 착용 종료, 일반 운동화 착용 시작, 근력 및 유연성 회복 운동 병행 |
| 3~6개월 | 통증 없이 일상생활 가능, 하이힐은 6개월 이후 추천 |
👟 수술 후 보조기 착용 안내
🔹 무지외반 수술 전용 신발 (Hallux Valgus Shoes)
- 발 앞부분의 압력을 줄이도록 설계
- 수술 후 4~6주간 착용
- 발가락을 보호하며 변형 재발 방지
🔹 엄지발가락 교정 보조기 (Toe Spacer, Bunion Corrector)
- 수면 중 또는 실내에서 사용
- 관절 정렬 유지에 도움
🔹 깔창 (Orthotics)
- 수술 후 3개월 이후부터 사용
- 아치 지지 및 무게 분산
💡 수술 후 주의사항
- 금연: 회복 지연 및 감염 위험 증가
- 체중 조절: 발에 가해지는 압력 최소화
- 재활 운동: 물리치료사 지도 하에 발가락 굴곡, 신전 운동 진행
- 신발 선택: 앞코가 넓고 평평한 신발 추천
🔍 마무리하며: 무지외반증, 조기에 관리하세요
Hallux Valgus 수술은 외형뿐 아니라 통증 완화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수술 후 관리가 더욱 중요하며, 보조기 착용과 운동을 병행해야 재발 없이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게실염 증상, 원인, 치료까지 총정리! (1) | 2025.05.15 |
|---|---|
| [정형외과 깁스 관리] Cast 하다가 Bivalve 한다는 뜻은? (0) | 2025.05.12 |
| 테노라피(Tenorrhaphy)란? 힘줄 봉합술의 원리와 치료 과정 (0) | 2025.05.07 |
|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간단 MCL과 복잡 MCL의 차이점 (0) | 2025.05.07 |
| 로봇감압치료란? 허리, 목 디스크에 효과적인 물리치료 신기술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