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임용준비

이식증(Pica)이란? 비정상적인 섭식 행동의 원인과 증상 총정리

반응형

아이들이 흙을 먹거나, 어른이 얼음을 반복적으로 씹는다면 단순한 습관일까요? 반복적으로 영양가 없는 비음식 물질을 섭취하는 행동은 단순한 버릇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이식증(Pica)’**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식증의 정의, DSM-5 진단 기준, 주요 증상, 위험성 및 치료 방법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 이식증(Pica)이란?

**이식증(Pica)**은 음식이 아닌 것을 지속적으로 먹는 비정상적인 섭식 행동을 말합니다.
흙, 머리카락, 종이, 얼음, 비누, 석고, 페인트 조각 등 영양가 없고 먹어선 안 되는 물질을 섭취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이식증의 진단 기준 (DSM-5 기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발간한 DSM-5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어도 1개월 이상 비영양성, 비음식 물질을 지속적으로 섭취함
  2. 해당 행동이 발달적 수준에 부합하지 않음
    • 예: 2세 이하 유아는 입에 넣는 행동이 자연스러울 수 있음
  3. 사회문화적으로 일반적인 행동이 아님
    • 예: 특정 문화에서 진흙을 먹는 전통이 있는 경우는 예외
  4. 다른 정신질환 또는 의학적 상태(예: 임신, 지적장애 등)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 이식증의 주요 증상

증상 유형내용
행동적 증상 비음식 물질(흙, 종이, 비누, 머리카락, 얼음 등)을 반복적으로 섭취
시간적 지속성 최소 1개월 이상 반복됨
연령대 소아부터 성인까지 발생 가능. 특히 임신부,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게 빈도 높음
동반 증상 영양결핍, 위장 문제, 중금속 중독, 장폐색 등 발생 가능

🧪 이식증이 선호하는 섭취 물질 예시

  • 흙(Geophagia)
  • 얼음(Pagophagia)
  • 전분(Amylophagia)
  • 종이, 직물, 머리카락(Trichophagia)
  • 페인트, 석고, 비누 등 화학물질

🧬 이식증의 원인

원인 구분설명
영양 결핍 철분, 아연 등의 결핍과 관련 있음 (특히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에게 자주 관찰)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주의 결핍 등 정신적 문제와 연관
발달적 요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지적장애 등의 발달 장애에서 자주 발생
문화적 영향 특정 문화에서는 일시적으로 일부 물질 섭취가 용인될 수도 있음

🩺 이식증의 위험성과 합병증

  • 소화기 손상: 장폐색, 위막힘, 소화불량
  • 중독 위험: 납중독, 수은 중독
  • 감염: 기생충 감염, 세균 감염
  • 영양실조: 필수 영양소 섭취가 방해됨
  • 심리적 위축: 사회적 고립, 수치심

🧠 치료 방법

1. 의학적 검사

  • 철분, 아연, 기타 영양소 결핍 여부 확인
  • 납중독 검사 등 중금속 검사

2. 심리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행동의 원인과 대체 행동 찾기
  • 가족 치료: 아이의 경우 가족 환경 개선

3. 약물치료 (필요시)

  • 강박적 행동 완화 목적의 약물 사용 고려

4. 환경적 개입

  • 위험 물질 차단, 대체 감각 자극 제공

✅ 정리: 이식증, 단순한 습관이 아닙니다

이식증은 일시적 행동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입니다.
특히 아이나 임산부가 반복적으로 비음식물을 섭취한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수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