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들이 흙을 먹거나, 어른이 얼음을 반복적으로 씹는다면 단순한 습관일까요? 반복적으로 영양가 없는 비음식 물질을 섭취하는 행동은 단순한 버릇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 **‘이식증(Pica)’**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식증의 정의, DSM-5 진단 기준, 주요 증상, 위험성 및 치료 방법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 이식증(Pica)이란?
**이식증(Pica)**은 음식이 아닌 것을 지속적으로 먹는 비정상적인 섭식 행동을 말합니다.
흙, 머리카락, 종이, 얼음, 비누, 석고, 페인트 조각 등 영양가 없고 먹어선 안 되는 물질을 섭취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이식증의 진단 기준 (DSM-5 기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발간한 DSM-5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적어도 1개월 이상 비영양성, 비음식 물질을 지속적으로 섭취함
- 해당 행동이 발달적 수준에 부합하지 않음
- 예: 2세 이하 유아는 입에 넣는 행동이 자연스러울 수 있음
- 사회문화적으로 일반적인 행동이 아님
- 예: 특정 문화에서 진흙을 먹는 전통이 있는 경우는 예외
- 다른 정신질환 또는 의학적 상태(예: 임신, 지적장애 등)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 이식증의 주요 증상
증상 유형내용
행동적 증상 | 비음식 물질(흙, 종이, 비누, 머리카락, 얼음 등)을 반복적으로 섭취 |
시간적 지속성 | 최소 1개월 이상 반복됨 |
연령대 | 소아부터 성인까지 발생 가능. 특히 임신부,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게 빈도 높음 |
동반 증상 | 영양결핍, 위장 문제, 중금속 중독, 장폐색 등 발생 가능 |
🧪 이식증이 선호하는 섭취 물질 예시
- 흙(Geophagia)
- 얼음(Pagophagia)
- 전분(Amylophagia)
- 종이, 직물, 머리카락(Trichophagia)
- 페인트, 석고, 비누 등 화학물질
🧬 이식증의 원인
원인 구분설명
영양 결핍 | 철분, 아연 등의 결핍과 관련 있음 (특히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에게 자주 관찰) |
심리적 요인 | 스트레스, 불안, 주의 결핍 등 정신적 문제와 연관 |
발달적 요인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지적장애 등의 발달 장애에서 자주 발생 |
문화적 영향 | 특정 문화에서는 일시적으로 일부 물질 섭취가 용인될 수도 있음 |
🩺 이식증의 위험성과 합병증
- 소화기 손상: 장폐색, 위막힘, 소화불량
- 중독 위험: 납중독, 수은 중독
- 감염: 기생충 감염, 세균 감염
- 영양실조: 필수 영양소 섭취가 방해됨
- 심리적 위축: 사회적 고립, 수치심
🧠 치료 방법
1. 의학적 검사
- 철분, 아연, 기타 영양소 결핍 여부 확인
- 납중독 검사 등 중금속 검사
2. 심리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행동의 원인과 대체 행동 찾기
- 가족 치료: 아이의 경우 가족 환경 개선
3. 약물치료 (필요시)
- 강박적 행동 완화 목적의 약물 사용 고려
4. 환경적 개입
- 위험 물질 차단, 대체 감각 자극 제공
✅ 정리: 이식증, 단순한 습관이 아닙니다
이식증은 일시적 행동이 아닌,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입니다.
특히 아이나 임산부가 반복적으로 비음식물을 섭취한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수입니다.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보건임용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장애 진단기준 완벽 정리|밤새 뒤척이는 당신, 혹시 불면장애일까요? (0) | 2025.04.30 |
---|---|
회피성/제한성 음식섭취장애(ARFID)란? 원인부터 증상, 진단 기준까지 완벽 정리! (0) | 2025.04.30 |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란? 진단, 증상, 정도까지 총정리! (0) | 2025.04.30 |
기출문제집으로 보건교사 임용시험 준비법 (0) | 2025.04.30 |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 정의, 진단기준,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차이까지 완벽 정리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