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병원내 각종검사

신장 기능을 정확히 평가하는 검사, Cystatin-C란? **만성신부전(CKD)**이나 심부전, 고혈압, 당뇨병 등으로 정기적인 신장 기능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단순한 크레아티닌 수치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이때 사용되는 검사 중 하나가 바로 Cystatin-C(시스타틴 C) 검사입니다.✅ Cystatin-C 검사란?Cystatin-C는 우리 몸의 모든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단백질로, 혈액을 통해 신장에서 배설됩니다.따라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중 Cystatin-C 수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근육량에 영향을 받지 않음 → 노인, 저근육량 환자에게 더 정확함✅ GFR(사구체 여과율)을 보다 정밀하게 추정 가능✅ 크레아티닌보다 조기 신장 기능 저하를 잘 반영함📊 Cystatin-C 정상 수치항목정상범위Cystatin-C0.61 ~.. 더보기
🌡️ Procalcitonin 검사란? 감염 상태를 알려주는 바이오마커! **Procalcitonin(프롤칼시토닌)**은 세균성 감염 여부와 그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혈액 검사입니다. 특히 패혈증(Sepsis)과 같은 중증 감염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 경과를 관찰하는 데 유용하죠.✅ Procalcitonin이란?Procalcitonin은 원래 갑상선 호르몬 전구체 중 하나지만, 감염이나 염증 반응이 있을 때 전신에서 생성되며 혈액 내 수치가 급격히 상승합니다.🔍 특징 정리세균성 감염 시 증가바이러스 감염이나 비감염성 염증 질환에서는 잘 증가하지 않음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복막염 등 중증 감염 진단에 활용🧪 Procalcitonin 검사 언제 하나요?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행합니다:원인 불명의 고열이 있을 때패혈증, 폐렴, 요로감염 등이 의심될 때항생제 사용 여.. 더보기
🔍 anti-CCP Ab 검사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의 핵심 지표! **류마티스 관절염(RA)**을 조기에 진단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검사 중 하나가 바로 anti-CCP Ab 검사입니다. 이 글에서는 anti-CCP Ab가 무엇인지, 어떤 경우에 검사하는지, 결과 해석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anti-CCP Ab란?anti-CCP Ab는 항-시트룰린화 펩타이드 항체를 의미합니다.이 항체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체내에서 발견되는 자가항체로, 자가면역 반응의 결과로 생성됩니다.✔ 주요 특징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에 특이도 높음 (약 95%)관절염이 시작되기 수년 전부터 양성으로 나올 수 있음RF(Rheumatoid Factor)와 함께 검사하면 진단 정확도 상승🧪 어떤 상황에서 anti-CCP Ab 검사를 하나요?이 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 더보기
전류인지역치검사란? 신경손상 진단을 위한 객관적인 방법 신경 손상이나 말초신경병증이 의심될 때, 단순한 촉각 검사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전류인지역치검사(CPT 검사)**는 보다 정확하고 정량적인 감각신경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류인지역치검사의 정의, 검사 방법, 적용 분야, 해석 등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전류인지역치검사(CPT 검사)란?**전류인지역치검사(Current Perception Threshold Test, CPT)**는 전기 자극에 대한 인지 역치를 측정하여 감각신경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3가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감각신경의 각 섬유 유형(Aβ, Aδ, C fiber)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검사 방법전극 부착: 손가락, 발가락, 또는 필요한 부위 피부에 전극을 부착합니다.전기 .. 더보기
PCN과 PCD란? 신장 질환에서의 의미와 차이점 신장이나 요로계에 문제가 생겨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을 때, 의료진은 신장 배액을 위한 시술을 시행합니다. 이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바로 **PCN(신우신루술)**과 **PCD(경피적 배액술)**입니다. 두 용어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적용 부위와 목적에 있어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CN과 PCD의 정의, 목적, 차이점, 주의사항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PCN (Percutaneous Nephrostomy, 경피적 신루술)이란?PCN은 신장의 신우에 직접 관을 삽입해 소변이 배출되도록 돕는 시술입니다. 요로 폐쇄로 인해 소변 배출이 어려울 때 가장 흔히 사용되며, 소변 배출로 인해 신장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적용 대상요관 결석종양으로 인한 요관 폐쇄요로 감염으.. 더보기
🫀 EKG 찍는 방법: 전극 부착부터 검사 절차까지 한눈에 정리! 심전도(EKG, Electrocardiogram)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부정맥, 심근경색, 심비대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본 글에서는 EKG를 찍는 방법과 전극 부착 위치, 검사 절차, 주의사항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EKG란 무엇인가요?EKG는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피부 표면에 부착한 전극을 통해 감지하여 심장 박동의 리듬과 형태를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비침습적이며, 통증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심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KG 전극 부착 방법 (12유도 기준)EKG는 총 **10개의 전극(사지 4개 + 흉부 6개)**을 사용하며, **12개의 유도(리드)**를 측정합니다.📌 1. 사지 전극 부착 위치전극부착 부위RA (오른팔)오른쪽 손목 또.. 더보기
심장초음파 정상범위와 이상 소견 시 생길 수 있는 합병증 정상 수치와 주요 지표 해석, 놓치면 안 될 심장 질환 징후까지✅ 심장초음파란?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는 초음파를 이용해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영상으로 확인하는 검사입니다.통증 없이 심장의 움직임, 혈류, 판막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심장 건강 진단에 매우 유용합니다.📊 심장초음파 정상범위 정리검사 항목정상 범위설명좌심실 박출률 (EF)55% ~ 70%심장이 혈액을 얼마나 잘 내보내는지 평가좌심실 내경 (EDD)4.0 ~ 5.6 cm수축 전 좌심실 크기좌심실 수축기 내경 (ESD)2.5 ~ 4.0 cm수축 후 좌심실 크기심장벽 두께 (IVS, PW)0.6 ~ 1.1 cm심장 근육의 두께좌심방 직경 (LA diameter)≤ 4.0 cm좌심방 크기승모판(E/A 비율)0.8.. 더보기
아목사실린(Amoxicillin) 작용과 부작용, 복용 시 대처법 총정리 항생제를 처방받았을 때 가장 자주 마주하게 되는 약 중 하나가 바로 **아목사실린(Amoxicillin)**입니다. 감기, 인후염, 중이염 등 다양한 세균 감염 질환에 폭넓게 사용되지만, 복용 전 알아야 할 작용 기전, 부작용, 그리고 부작용 발생 시 대처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목사실린이란?아목사실린은 페니실린계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해 세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그람양성균과 일부 그람음성균에 효과적이며, 다음과 같은 질환 치료에 자주 사용됩니다.📌 아목사실린 사용 질환 예시중이염, 부비동염편도염, 인후염기관지염, 폐렴요로감염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클라리스로마이신, PPI와 병용)✅ 아목사실린의 작용 기전아목사실린은 세균의 세포벽을 형성하는 펩티도글리칸(pept..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