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만성신부전(CKD)**이나 심부전, 고혈압, 당뇨병 등으로 정기적인 신장 기능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단순한 크레아티닌 수치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검사 중 하나가 바로 Cystatin-C(시스타틴 C) 검사입니다.
✅ Cystatin-C 검사란?
Cystatin-C는 우리 몸의 모든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단백질로, 혈액을 통해 신장에서 배설됩니다.
따라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혈중 Cystatin-C 수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 ✅ 근육량에 영향을 받지 않음 → 노인, 저근육량 환자에게 더 정확함
- ✅ GFR(사구체 여과율)을 보다 정밀하게 추정 가능
- ✅ 크레아티닌보다 조기 신장 기능 저하를 잘 반영함
📊 Cystatin-C 정상 수치
항목정상범위
Cystatin-C | 0.61 ~ 0.95 mg/L |
Cystatin C 기반 GFR | 60 이상 (보통 90 이상이면 정상) |
예: Cystatin-C 3.75 mg/L → GFR 약 11.33 → 중증 신기능 저하 (CKD stage 5) 의심
🧬 Cystatin-C 기반 GFR이 중요한 이유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크레아티닌 기반 GFR은 다음과 같은 변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 나이, 성별
- 체중 및 근육량
- 수분 상태
반면 Cystatin-C 기반 GFR은 보다 독립적이고 조기 진단에 유리합니다.
특히 고령자, 만성질환자, 입원 환자, 체중 변화가 큰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 GFR 수치와 신부전 단계
GFR 수치단계의미
≥90 | Stage 1 | 정상 기능, 단백뇨 등 있는 경우 CKD 가능 |
60~89 | Stage 2 | 경도 신기능 저하 |
30~59 | Stage 3 | 중등도 저하 |
15~29 | Stage 4 | 중증 저하 |
<15 | Stage 5 | 말기 신부전 → 투석 고려 |
💡 어떤 경우에 Cystatin-C 검사를 하나요?
- 만성신장질환 의심 또는 모니터링 중인 경우
- 심부전 환자의 신기능 평가
- 노인성 질환자 또는 근육량이 적은 환자
- 크레아티닌 수치와 임상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실제 사례
60대 심부전 환자가 허리 수술 후 저혈압과 산소포화도 저하를 보여 Cystatin-C 검사를 시행함.
결과: Cystatin-C 3.75 mg/L, GFR 11.33 → 심각한 신기능 저하로 약제 감량 및 산소 치료 지속.
이처럼 Cystatin-C 검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신장 상태 판단에 도움을 줍니다.
📝 결론
Cystatin-C 검사는 신장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특히 만성질환자, 입원 환자, 노인 환자의 신장 기능 평가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정확한 치료 방향 설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병원내 각종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rocalcitonin 검사란? 감염 상태를 알려주는 바이오마커! (0) | 2025.05.14 |
---|---|
🔍 anti-CCP Ab 검사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의 핵심 지표! (0) | 2025.05.14 |
전류인지역치검사란? 신경손상 진단을 위한 객관적인 방법 (0) | 2025.05.14 |
PCN과 PCD란? 신장 질환에서의 의미와 차이점 (0) | 2025.05.09 |
🫀 EKG 찍는 방법: 전극 부착부터 검사 절차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