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기 4008S의 세팅은 전문적인 의료 전문가에 의해 세팅되어야 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의료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기에 의료진과 업체 엔지니어나 교육자와 협력하여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게 적절한 세팅을 수행해야 합니다. 4008S 혈액투석기 사용법에 대해 이론과 임상의 자세한 내용을 작성하여 임상에서 보다 쉽게 원리를 이해하고 투석기를 다루어 환자의 안전과 의료진의 전문적인 의료처치를 기대합니다.
1. Operation start
- Acid용액과 Bibag을 연결하면 test버튼의 램프가 깜박이면 버튼을 눌러줍니다.
(만약에 특정 항목의 test가 실패할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며 메세지가 빨간색으로 바뀌며 해당내용에 x표시가 되는데 이때 TEST버튼을 눌러 빨간 표시된 항목을 한번 더 test합니다.)
(Test실패시 임의로 Override하여 사용하지 말고 해당업체 엔지니어와 상의합니다.)
2. 프라이밍(Priming)
프라이밍이란? 투석기의 투석연결 회로 내를 세척하며, 기포제거 및 투석기와 투석 연결 회로를 생리식염수나 보액으로 채우는것을 말한다. 프라이밍중 투석기와 투석연결회로의 불량이나 이물질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라이밍 후 투석액 커플러를 투석기에 연결하여 투석액을 채워 공기를 반드시 빼내야 한다(gas purge)
-> 투석기, 투석연결회로(Blood tubing line)세척/ 기포제거하여 공기색전증예방/ 혈액누출을 확인하기위함
- Test가 정상적으로 끝나면 경보음이 발생하고 T1 test Passed가 표시됨. 이때 tubing set와 saline을 연결한 후 priming 버튼을 누른다.
3. Bleed
Bleed란? 혈액이 몸밖으로 나오는 과정/ 환자의 동정맥루 또는 perm cath를 혈액투석기계와 연결하는 과정/
No bleed : 투석전 혈압이 낮을때 Bleed를 하지 않고, 동맥 정맥 바늘 입구와 투석연결회로의 동맥, 정맥 라인을 연결한 후 클램프를 풀고 saline을 넣어주면서 볼륨을 주입해 주는 과정
half bleed : 투석기 절반까지 혈액색깔로 변하면 펌프를 멈추고 투석연결회로 정맥라인을 연결한후 클램프를 풀고 생리식염수를 넣어주면서 볼륨을 주입해주는 과정
-saline이 Venous chamber에 채워지고 Air Detector에 saline이 감지되면 priming End가 표시된다. Arterial Fistula와 tubing을 연결한 다음 Start/Reset버튼을 눌러 Bleed시작한다.
※Bleed전
1. A- chamber 바르게 되어 있는지 보기(프라이밍시에 에어 들어가지 않기 위해 뒤집어서 연결하다 saline차면 똑바로 뒤집어 준다)
2. 수액 잠겼는지 확인
3. 헤파린라인 열려있는지 확인
4. 동맥압, 정맥압 측정센서 연결 잘 조여져 있는지 확인
5. vein chamber saline금까지 되어 있는지 확인(안그러면 air detect계속 울림)
6.UF설정 (kg/시간)
7.history vital sign설정
8.혈압기 감고 있는사람 45분등으로 설정
4. Preparation
Blood가 Venous chamber를 지나 optical detector에 감지되면 preparation end가 표시되고, 경보음이 발생하며 Blood pump가 정지됩니다. 이때 Venous fistula와 tubing을 연결한 후 Start/Reset 버튼을 누르면 Dialysis표시
5. Dialysate Menu
Dialysate Menu 버튼을 누르면 투석액의 농도(dilution,Base Na+, Bicarbonate, temperature, Flow, Na profile), Profile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6. 연결 후
- 헤파린 bolus주입 ( bleed시 헤파린 라인까지 혈액이 보이면 그때 주입해도 됨- 이때 하는게 주입을 잊어버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Flow(환자상태에 따라 250~280 - 처방되어있음) 설정
- 다른 연결부위 잘 조여 졌는지, 열렸는지, 잠겼는지 확인 (dialysis연결부위는 투석기가 돌아가면서 따뜻해지며 헐거워진다)
- 챠팅 AP VP 작성/ 시간당 양/ 바이탈/혈당 챠팅
6. 마무리 임상순서
1. A- chamber 바르게 되어 있는지 보기(프라이밍시에 에어 들어가지 않기 위해 뒤집어서 연결하다 saline차면 똑바로 뒤집어 준다)
2. 수액 잠겼는지 확인
3. 헤파린라인 열려있는지 확인
4. 동맥압, 정맥압 측정센서 연결 잘 조여져 있는지 확인
5. vein chamber saline금까지 되어 있는지 확인(안그러면 air detect계속 울림)
6.UF설정 (kg/시간)
7.history vital sign설정
8.혈압기 감고 있는사람 45분등으로 설정
9.바늘삽입
10.A - 연결.
11.헤파린까진 혈액 연결되면 bolus주입
12.소리나면 V연결
13.Flow(250-280 )설정
14. 다른 연결부위 잘 조여 졌는지, 열렸는지, 잠겼는지 확인
(dialysis연결부위는 투석기가 돌아가면서 따뜻해지며 헐거워진다)
15.챠팅 AP VP 작성/ 시간당 양
바이탈/혈당 챠팅
참고도서 : (주)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 에머제로 가이드, 슬기로운 인공신장실생활(혈액투석기본편), 최신투석매뉴얼(군자출판사), 간호사를위한 혈액투석 지침서(병원투석간호사회), 김동현전공보건파노라마워크북III
'투석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석량의 지표 요소제거율 URR, 표준화투석량 Kt/V (0) | 2023.06.05 |
---|---|
투석환자의 요독증후군 (0) | 2023.06.01 |
투석실(인공신장실) 신부전 환자에게 주로 투여되는 약 (0) | 2023.05.31 |
혈액투석 카테터 터널식 비터널식 (0) | 2023.05.30 |
투석환자의 칼슘 인 부갑상샘호르몬의 관계 (3)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