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동정맥루(AVF, AVG)가 필요한데 동정맥루는 수술후에 혈관사용이 필요한 성숙까지 2~3개월간의 기간이 필요하기에 투석카테터를 삽입하여 혈액투석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때 투석 카테터는 터널식과 비터널식 카테터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터널식 카테터와 비터널식 카테터의 차이점에 대해 소개 해보고자 합니다.
혈액투석 카테터는 신장 투석을 위해 혈액을 체외순환시키기 위해 혈관에 삽입되는 튜브입니다. 이 카테터는 주로 투석 과정에서 혈액을 흘려보내거나 혈액을 체내로 다시 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혈액투석 카테터는 터널식 카테터와 비터널식 카테터로 분류됩니다.
터널식 카테터(Tunneled Catheter): 터널식 카테터는 피부 아래(피하지방으로 매몰)에 터널을 만들고 그 안으로 카테터를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카테터의 일부는 피부 아래에서 빠져나와 혈관에 직접 삽입되며, 나머지 카테터는 피부 아래 터널을 따라 이동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카테터의 안정성을 높이고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터널식 카테터는 장기적인 혈액 투석이 필요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비터널식 카테터(Non-Tunneled Catheter): 비터널식 카테터는 직접 혈관(피하지방에 매몰되지않음)에 삽입되는 방식입니다. 이 카테터는 피부를 통해 혈관에 직접 접근하며, 일반적으로 임시적인 투석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비터널식 카테터는 터널식 카테터보다 삽입이 더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감염이나 이동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비터널식 카테터는 장기적인 투석이 필요하지 않은 일시적인 투석이 필요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결론적으로, 터널식 카테터는 장기적인 투석을 위해 안정성과 감염 예방을 위해 사용되며, 비터널식 카테터는 일시적인 투석에 더 적합하며 삽입이 간편합니다. 하지만 카테터 종류 및 사용 여부는 환자의 개별 상황과 의료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1. 터널식 혈액투석 카테터
장점 : 혈액투석 카테터의 커프는 삽입후 터널 피하조직과의 유착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카테터의 고정기능과 감염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하게 되어 비터널식 카테터에 비해 큰 장점을 가지게 됩니다.
2. 비터널식 혈액투석 카테터
단점 : 터널식 혈액카테터에 비해 감염의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급성기 입원 환자의 경우에 한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대퇴정맥을 통한 카테터의 삽입은 감염과 혈전증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3주이상 사용금지로 가능한 빨리 터널식 혈액투석카테터로 교체하는것이 권고됩니다.
적응증 : 터널식 혈액투석 카테터를 만들기 어렵거나 급성기 투석치료로 일주일 미만의 투석이 예측되는 환자에서 유용합니다. 비터널식 혈액투석 카테터는 터널을 만들지 않기 떄문에 카테터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시술이 간편하여 불안정한 패혈증, 심한 폐부종이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3. 카테터환자 투석 시작과 종료 세트 준비하기
시작시 준비
디셋(Start set) 10cc 시린지2개, 3cc시린지2개, 20cc saline, 3M테잎, glove, 클로르헥시딘, 에스로반(첫날 처방하여 계속사용)
종료준비
디셋(Finish set) 10cc 시린지2개, 3cc시린지2개, 20cc saline, 3M 붙이는거 glove, 클로르헥시딘 헤파린(25000 IU:5ml) 헤파린캡2개
'투석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석량의 지표 요소제거율 URR, 표준화투석량 Kt/V (0) | 2023.06.05 |
---|---|
투석환자의 요독증후군 (0) | 2023.06.01 |
투석실(인공신장실) 신부전 환자에게 주로 투여되는 약 (0) | 2023.05.31 |
혈액 투석기 4008S 사용법 및 Bleed (0) | 2023.05.30 |
투석환자의 칼슘 인 부갑상샘호르몬의 관계 (3)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