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석실이야기

혈액 투석 환자가 자주 물어보는 질문

반응형

이글은 병원 선배님께서 직접 경험하고 찾아보신것을 토대로 후배 간호사를 위해 직접 손수 작성하여 주신것입니다.

간호사는 끊임없이 공부하는 선배간호사인 김민O선생님께 감사드리며 함께 나누고자 씁니다.

 

Q. 혈액투석은 왜 4시간해야 되나요? 오늘은 짧게 하면 안되나요?

A. 연구결과상 4시간 주3회 투석시 요독제거가 효과적이다. 연구결과상 4시간이 가장 적합하고 수분제거시 부작용이 가장 적어요. 그럼 많이 하면 요독제거가 잘되니깐 5시간 해도 되냐고 묻는 경우가 있는데 dialyzer 필터의 걸러주는 효과는 4~4.5hr이 지나면 큰 의미가 없다.

Kt/V 낮은 이유 : BFR이 낮을 때, dialyzer에 비해 체표면적이 클때(체중에 비해 작은 dialyzer사용시)

                         BFR이 낮을때, access의 recirculation이 의심될때

 

Q. 투석간 체중증가의 질문(몇키로 늘어오야 제일 좋은가요?)

A. 보통 건체중의 2~3%가 이상적이라고 하는데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평일 2.0~2.5kg 이하 주말 3.5kg 이하로 설명하지만 과거 투석기록지 확인 후 환자의 wt gain 패턴과 CT-R에 기준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해줌.

ex)환자들 중 주말에 무조건 4.0~4.5kg 이상이어서 주중에 조절하도록 융통성 있게 설명. 식이는 영양가 있게 할수 있도록 하고 강박적으로 체중 제한하면 영양불균형이 올수 있으므로 과일, 야채, 수분섭취 등 중점을 둥고 설명을 해준다.

 

Q. 저는 뭘 먹을 수 있나요? or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나요?

A. 단백질을 몰아서 드시지 말고 매끼니 소량 생선(조림보다 굽거나 튀긴), 살코기 위주로 고단백식이 교육, 잡곡보다는 흰쌀밥,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는 인이나 나트륨이 많음. 하지만 영양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식사종류보다 선호하는 음식이라도 적절히 드실수 있게 설명한다. 계란은 노른자에 인이 많아서 계란을 먹는 환자는 노른자는 간혹 드시도록 설명한다.

 - 인이 많은 음식 : 일상적으로 모르고 먹는 음식중 콜라, 믹스커피, 초코렛, 크림빵, 국수, 사골 곰탕,계란노른자, 치즈(유제품)

- 포타슘주의 음식 : 말린과일, 여름 과일에 칼륨이 많음. 고구마, 감자, 콩 주의 토마토, 키위, 바나나, 참외

- 저염식이 : 나트륨 자체도 문제가 되지만 수분섭취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하도록 교육

 

Q. 건강기능식품이나 영양제, 홍삼 먹어도 되나요?

A. 각종 즙, 오랫동안 달이거나 우려낸 식품은 제한, 유산균은 가능하나 담당의 확인후 복용하도록 한다. 혈액 검사에 따라 하루 한포정도는 복용 가능하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담당의와 확인한다. 비타민 B나 C먹어도 되는지 묻는다면 레날민이 신장비타민이라고 설명해준다.  

 

Q. 운동해되 되나요?

A. 꾸준한 걷기와 무리되지 않는 선의 근력운동은 도움이 되지만 투석당일이나 투석직후 무리한 운동은 컨디션 저하, 근경련의 원인이 될수 있음. 투석 후 운동보다 충분한 휴식권유

 

Q.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아령으로 운동해도 되나요? (AVF arm)

A. 금지해야 합니다. 장시간 AVF arm 사용시 폐색위험이 있어서 투석을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반지 착용, 손목이 조이는 악세서리나 행동, 팔을 베고 자는 것은 주의 해야함을 교육.

 

Q. 투석당일 목욕해도 되나요?

A. 적어도 24시간 지난후에 하도록 권장(딱지가 떨어지며 출혈발생 할수도 있어서 다음날 아침에 대일밴드를 떼어야 함으로 목욕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Q. 투석중 혈관이 터져서 부었어요.

A. 당일에 귀가하여 또는 병원에서는 냉찜질(얼음팩), 익일부터는 온찜질 권유. 시간이 지나고 멍이 들수 있음을 설명.

 

Q. 투석이 잘 되고 있는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A. 투석적절도가 최소 1.2이상 URR이 65%이상일때 (최소)

(Kt/v가  1.0에 가까울수록 효율이 높으나 1.0일수는 없음. Kt/V는 대부분 수식이나 계산기가 있다.)

URR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음 

URR (%) = (pre BUN- post BUN) / pre BUN x 100

 

Q. 건체중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A. 건체중은 고정값이 아님을 설명. CXR, BP, 부종의 유무, 컨디션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설정하는데 심흉비(CT-R)을 우선으로 하여 현재보다 상향 or 하향 or 유지 가능한지 결정합니다. 체수분분석 (BCM)을 통해 건체중에 근접하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BCM 측정가능한 기계가 있는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고 통상 부종이나 혈압상승이 있을때 서서히 200~300g씩/ 1회투석  감량합니다. 무리한 건체중 하향은 저혈압과 근경련 컨디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신중해야 합니다. 그러나 투석간 수분제거가 충분치 않는 경우 수분이 축적되어 심한 pitting edema or 눕거나 잘대 숨차거나 호흡곤란, 혈압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가능하면 매투석시 P/E사정, dyspnea 유무 혀랑ㅂ 상승을 전의 치료와 비교하여야 하고 기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혈압이 낮은데 P/E 가 있는 경우에는 투석전 혈압약의 복용유무를 확인후 기록해 두면 좋습니다.(이런경우 혈압약 중단 또는 투석날 혈압약 복용법 변경을 할 수 있음)

-현재까지 건체중은 추측이 가능하고 아주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Q. 혈관 수술 후 공운동?

A. 2~3일 후 부종이 가라안증면 천천히 공을 쥐었다 폈다하는 방법교육, 최소 6~8주후 혈관성숙시 사용가능합니다.

 

Q. 월요일이나 화요일 아침 환자가 무기력하고 손끝, 발끝(말초) 감각이상, 평소에 비해 느린 맥박이 관찰되면 투석을 빨리 시작해줘야 하나 듀티 챠지 선생님께 보고후 K+ f/u위해 sampling을 해둡니다. 주말간 누적된 칼륨이 주초에 고칼륨혈증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주말에 특별한 음식 먹은 것이 없는지 확인 하여 기록을 남깁니다.

 

- 투석중간에 sampling 해도 되는 항목 : TFT, OT/PT, CK-MB등

Hb, Hct투석 후반에 가까울수록 부정화해지고, electro는 변동이 많아 금지한다.

 

- 설사, 감기로 인해 wt gain이 적은경우 P/E확인 후 영양제 투여가 가능하다.

 

- 투석전 설사등 장염이 있을 경우 듀티차지에게 보고후 처치후 투석 진행하는 경우가 많음 -> 투석중 계속 화장실에 가게 되면 투석 효율성도 저하되고 circulation하는 동안 clot위험성, 부정확한 체중등으로 시작전 약 복용하는 경우가 있음.

 

-투석 종료시 artery에 있는 blood넣어줄때 간혹 압력차 때문이 아닌 clot으로 return되지 않는 경우 있음  -> 그럴때는 밀어넣기를 중단

 

-투석중 VP상승 , TMP의 급격한 저하 (negative) pump돌때 쩍쩍0(?) 거리는 소리가 나면 filter나 vein chamber의 clot을 의미하므로 BFR을 낮춰 NS로 irrigation해보는 것이 우선임.

 

- 만약 VP상승만 있다면 line의 꺾인 부분이 없는지 바늘부위가 부었는지를 먼저 사정해야한다. 

 

AP저하 : 동맥의 라인의 이상, 바늘이 혈관벽에 닿았을때 SBP저하

VP상승 : 정맥라인의 이상, clot확인(NS irrigation), vein천자부위 이상, 환자의 자세변경 등

TMP상승 : HDF시행시 보액주입되며 일시적으로 상승되는 경우가 있음.

 

- 5008S 는 Fx 10으로 HDF가 불가합니다.

-4008S HDF불가(보액주입안됨)

-너무 큰 면적의 투석기 사용시에도 환자에게 영향을 미칠수 있음.

 

-울렁거리고 토할것 같다. 식은땀난다. 대변마렵고 배가 아프다고 표현하면 저혈압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태에 따라 눕히거나 leg elevation과 동시에 BP측정+판단하여 NS주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할때도 있음.

 

- AVF는 16~15G needle까지 가능하나 AVG는 16G보다 굵은 바늘을 사용하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