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석환자는 신장 기능이 손상되어 체내의 노폐물과 전해질 농도를 조절의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칼륨은 신장에서 배설되는 전해질 중 하나이며, 과다한 칼륨 섭취는 투석 환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칼륨 농도가 너무 높으면 심부전이나 부정맥과 같은 심혈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석환자가 칼륨을 섭취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석환자는 식단과 영양 섭취에 관한 전문적인 조언을 받기 위해 영양사나 치료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와 칼륨 농도를 고려하여 맞춤식단을 계획해야 합니다.
- 칼륨 제한: 일반적으로 투석환자에게는 칼륨 섭취량을 제한해야 합니다. 과다한 칼륨 섭취를 피하기 위해 고칼륨 식품을 피하고, 저칼륨 식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저칼륨 식품: 투석환자는 저칼륨 식품을 중심으로 한 식사를 섭취해야 합니다. 저칼륨 식품에는 사과, 포도, 딸기, 배, 샐러리, 브로콜리, 양배추, 당근, 백색 감자 등이 포함됩니다.
- 고칼륨 식품 피하기: 투석환자는 고칼륨 식품을 피해야 합니다. 고칼륨 식품으로는 바나나, 참외, 멜론, 곶감, 앵두, 천도복숭아, 키위, 토마토, 오렌지, 감귤류, 멜론, 시금치, 감자, 토마토, 콩류, 견과류 등이 있습니다.
- 조절 가능한 섭취량: 칼륨 섭취량을 조절하기 위해 음식을 조리할 때 칼륨을 제거하도록 처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에 담가 소금을 풀어내거나, 요리할 때 물을 교체하고 끓여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의약품 복용: 일부 투석환자는 칼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칼륨 결핍을 방지하기 위한 의약품을 복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의료 전문가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투석환자의 식단은 그들의 건강 상태와 신장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자신의 상태를 한달에 한번 또는 그 이상 주기적으로 피검사 및 증상을 확인하여 조절하여야 합니다.
채소군 | |
저칼륨 (<100mg) |
무, 오이, 당근, 김, 깻잎, 풋고추, 생표고, 팽이버섯, 더덕, 치커리, 배추, 양상추, 마늘쫑, 고사리, 파, 냉이, 콩나물, 숙주, 양파, 양배추, 가지 등 |
중칼륨 (<200mg) |
상추, 샐러리, 케일, 두릅, 도라지, 연근, 우엉, 열무, 고구마순, 느타리, 애호박 등 |
고칼륨 (<400mg) |
양송이버섯, 단보학, 아욱, 근데, 무청, 늙은호박, 물미역, 미나리, 부추, 쑥 , 쑥갓, 시금치, 취나물 등 |
과일군 | |
저칼륨 (<100mg) |
사과, 포도, 파인애플, 자두, 단감, 연시, 레몬 등 |
중칼륨 (<200mg) |
귤, 거봉포도, 배, 딸기, 백도, 황도, 살구, 수박, 오렌지, 자몽 등 |
고칼륨 (<400mg) |
바나나, 참외, 멜론, 곶감, 앵두, 천도복숭아, 키위, 토마토 등 |
참고: 2023 대한투석협회추계심포지엄, 간호사를 위한 혈액투석 지침서
반응형
'투석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석환자, 두릅 먹어도 될까? 꼭 알아야 할 섭취 가이드 (0) | 2025.04.13 |
---|---|
혈액 투석 환자가 자주 물어보는 질문 (0) | 2023.06.27 |
혈액 투석환자 타병원 입원시 전원기록지 (0) | 2023.06.14 |
혈액투석 환자의 식이요법 (0) | 2023.06.13 |
혈액투석 용수의 관리 (1) | 2023.06.13 |